I. WMS 개요
1. WMS 개요
WMS는 자재 또는 제품을 적재하고 관리하는 창고에 관한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전산정보화하여 보다 적은 인원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창고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시스템입니다.
WMS는 창고내의 모든 실물과 정보가 일치 하도록 하여 기업활동의 핵심 자원인 자재 및 제품정보에 대한 확고한 신뢰를 제공하며 보다 투명한 관리가 되도록 도와줍니다. WMS는 MES 및 ERP와 상호 연계 함으로서 자동화의 범위를 확대하고 정보의 신뢰성 및 가용성을 높여줍니다. 특히 각 창고에 대한 실시간 재고정보를 공유함으로서 직관적인 영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2. WMS 역할
WMS는 기존 수기전표에 의한 입고 및 출고 업무, 그리고 장부 기록 내지는 Excel과 같은 OA S/W로 관리하던 재고관리 업무, 작업자의 판단에 의존했던 적재 및 피킹 업무를 하나의 통합된 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하고 무선단말기(PDA)를 사용하여 동적, 실시간 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3. 기본 구성
WMS는 자재창고, 공정창고, 제품창고 및 물류창고 등과 같이 관리대상의 상태 및 정보의 연결성에는 각각 다르게 적용되지만 입고, 재고, 출하관리는 모두 동일한 프로세스를 갖습니다.
따라서 가장 보편적인 제품창고의 WMS의 기본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재창고
* 제품창고
4. 구축 효과
* 실시간 재고관리
창고에서의 재고정보는 출하업무 담당이나 영업업무 당당 모두에게 아주 중요한 정보입니다. 서류에 의존하던 방식으로는 창고작업자의 판단에 의하거나 서류를 취합해야 알 수 있던 정보들이 WMS에서는 실시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출하처리 속도가 향상되고 납기를 결정해야 하는 영업에서는 별도의 확인절차 없이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영자는 창고내 재고자산을 하시라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정책이나 의사결정이 분명하고 빠릅니다.
* 실물과 정보의 일치성
WMS는 업무프로세스 상으로 바코드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실물과 정보가 항시 일치된 상태로 처리되므로 정보의 신뢰성은 거의 완벽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영업의 신속성 및 유연성
영업 일선에서의 거래신용도는 가끔식 납기 미준수나 오더결정이 지연되는 문제로 실추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WMS는 실시간 재고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영업의 의사결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납기장애에 대한 문제를 사전에 조율함으로서 원만한 거래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선입선출
유통기한이 있는 제품을 관리하는 창고에서는 관리 소홀로 인한 다량의 자산손실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위험한 품질사고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WMS는 선입선출 기능 뿐만 아니라 보존기간경보기능 등으로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불량, 불용, 폐기등의 처리로 이러한 제품이 출하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적재위치 관리
작은 규모의 창고는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서 제품별, 규격별 위치를 관리하거나 적재할 수 있지만 규모가 커지거나 숙달되지 않은 작업자인 경우는 위치판단을 하는데 상당한 혼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 WMS는 각 창고의 적재위치정보을 자유롭게 구성하고 적재시나 출하시 바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동적업무지원
창고업무는 지게차와 같은 운반구를 가지고 항시 움직이면서 작업을 하기때문에 실시간 정보처리를 위한 무선PDA단말기 및 무선Tablet PC를 사용하여 관리를 합니다. 따라서 작업자는 PDA상에서 입고, 재고, 출하, 배차등의 대부분의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 품질추적성
출하이력 추적을 통한 불량제품의 제조Lot를 추적하여 Claim의 범위, 수습방안을 빠르게 결정할 수 있으며 재발방지를 위한 원인분석 및 불안요소를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 이력추적성
WMS에서 처리되는 모든 실행프로세스의 처리이력이 보존되고 특히 입고에 대한 이력은 입고 이전의 생산이력과 연계될 수 있습니다.
II. WMS의 구조 및 기능
1. 시스템 계층 구조
2. HW 구조
3. SW 구조
4. 주요 기능
1) 입고관리
입고는 자사제품에 대한 제품입고와 외주 상품입고로 구분하여 처리되고 제품입고는 이전의 입고 의뢰부서(생산,품질)의 정보를 연결하여 처리하고 상품입고는 별도의 입고등록을 수행하고 바코드라벨을 부착하여 입고처리합니다. 생산공정에 정보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는 적어도 포장공정에서부터 바코드시스템을 구축해야하며 WMS와 연계해야 합니다.
2) 재고관리
재고관리에는 단일 공장내 창고간 재고이동, 불량처리, 불용처리, 출하정지등이 있으며 재고조회시 이들에 대한 조건별 검색을 통하여 재고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재위치관리를 하는 경우는 적재위치별 재고조회가 가능하고 적재위치는 창고별, Zone, Rack, Cell등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조회가 가능합니다.
3) 재고실사
WMS에서 재고실사는 실시간 재고가 바로 실사LIST가 되어 정보와 실물의 존재유무, 상태, 적재위치등의 정보와 실물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PDA상에서 처리하는 기능입니다. 이렇게 처리된 실사 결과는 종합Report에 의해서 Balance 및 교정조치 내역이 보고될 수 있습니다.
4) 출하관리
출하는 크게 물류기지 출하 및 재작업, 폐기등을 위한 비거래 출하가 있고 매출과 연계된 거래출하가 있습니다. 출하는 영업의 출하지시 내지는 Invoice를 연계하여 PDA상에서 출하대상을 사전에 조회하고 우선순위에 따라서 출하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출하지시에 등제된 Packing List상의 제품만이 출하처리가 가능하도록 제한되기 때문에 혼입 또는 오송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5) 배차관리
물류기지와 같이 차량운송이 빈번한 창고는 각 차량별 배차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차량별 정산업무도 가능합니다.
6) 거래정산
일반적인 경우는 출하실적을 상위시스템에 전송하여 거래정산을 수행하지만 상위시스템의 연동이 불가하거나 시스템이 없는 경우는 WMS내에서 정산업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III. 구축 방안
1. WMS 구축시 선행 검토사항
1) 입출고 포장단위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포장방법이 다양하여 어떤경우는 더이상 분할이 안되는 단일제품 포장이 있는가 하면 반도체부품과 같은 경우는 분할출고가 가능한 최소범위까지 포장하여 다시 이것을 소, 중, 대박스로 포장하여 입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출고시 최소 소박스 단위까지 해체하여 분할 출고를 하기도 합니다. 결국 입고 포장단위와 출고 포장단위가 다른 경우는 가장 최소단위로 처리되는 포장단위까지 바코드 라벨을 부착하여 레코드 관리를 해야하고 생산의 포장공정에서 이들에 대한 결합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2) 바코드시스템
제조업 창고를 기준으로 보면 대부분의 제품이 자체생산 공정에서 입고 됩니다. 그런경우 입고되는 각 제품에 대한 생산정보를 가지도록 하려면 생산 포장공정에 바코드시스템이 구축되어야만 합니다. 포장공정의 바코드시스템은 최소포장단위, 소, 중 대박스 형태의 그룹핑에 대한 정보 연결고리를 가지도록 구축되어야 하고 최소정보단위별 제조LOT와도 연계되어야 합니다.
3) 바코드 라벨 취부 가능 여부
생필품과 같이 KAN Code를 사용하는 제품은 포장단위에 별도의 라벨을 취부하지 않는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단위포장에 제조Lot나 생산일자를 문자로 기록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WMS의 품질추적 및 선입선출 기능에 제한적 요소가 됩니다. 따라서 별도의 바코드 라벨이나 마킹을 할 수 있는지에 가능성 검토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자동차 부품과 같이 포장을 하지않는 제품은 제품에 Tag를 부착하거나 Material Marking을 해야 합니다.
4) 구축범위 및 방법
국가를 포함 여러지역에 공장 또는 물류기지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들을 하나의 통합된 체계에서 관리하고자 한다면 각 지역의 인터넷 가능여부 및 상태, 사내 Network 인프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정보의 안전성과 작업의 연속성을 위하여 Local 및 Host Server로 분산하여 설치해야 하는데 구축 비용문제와 위험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5) 기간시스템 연계
ERP와 같은 상위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는 작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WMS에 발생하는 입고, 재고, 출고실적을 상위시스템에 연계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상위시스템의 수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됩니다.
2. 솔루션 소개
1) 제지 제조업
※ SAP B1을 사용하는 제지 제조업에 적용한 WMS입니다.
창고의 입고, 재고, 출하에 해당하는 모든 처리업무는 PDA상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축되어 있으며 SAP과는 RFC (Remote function call) 방식으로 Massage를 교환하였습니다.
따라서 WMS가 SAP ERP의 모듈처럼 구성되어 처리되도록 구축되었습니다. PDA상의 모든 기능은 SAP상에서도 처리될 수 있으며 기타 모든 조회나 관리적인 프로세스는 SAP상에서 이루어 집니다. PDA는 제지 특성에 맞게 가장 튼튼한 모델로 선정하였을 뿐 아니라 바코드 인식이 3M이상 가능한 제품을 적용하였습니다.
※ H/W 구성도
※ PDA Program
2) 육가공 제조업
※ 양계 가공업에 적용한 시스템입니다.
양계를 가공하여 각 상품화된 형태로 냉동보관하고 영업의 출하계획 및 지시에 따라서 출고를 하는 사내 물류창고입니다.
※ 시스템 구성